[2030 청년세대 특집조사] 청년정책 “불만족(52%)”, 청년부 신설 “찬성(59%)”
[2030 청년세대 특집조사] 청년정책 “불만족(52%)”, 청년부 신설 “찬성(59%)”
  • 국제전문기자CB(특별취재반) 김지성 기자
  • 승인 2019-01-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년세대 지지율 하락요인 “북한문제ㆍ일자리ㆍ젠더이슈”
청년세대 행복체감도 "5점기준 3.21점", 여성보다 남성이 비교적 낮아
청년세대 행복 필요조건 "일자리·주거·여가생활"順
중앙정부 청년정책 전담 청년부 신설 "10명 중 6명 찬성"
지방정부 청년정책 전담 청년국(과) 신설 "찬성 54%, 절반 상회"
문재인정부 청년정책 평가 "불만족(52%)"
문재인 대통령 청년세대 지지율 하락요인 "북한·일자리·젠더갈등"順

2009년 10월부터 2018년 제7회 지방선거까지 10년간 유일하게 선거일 예측조사를 발표해온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가 세계 최대 뉴스통신사 UPI 한국미디어인 <UPI뉴스ㆍUPINEWS+>와 함께 12월 28~31일 나흘간 2030 청년세대 관련 특집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19~39세('이하 2030') 청년세대 행복체감도는 5점기준으로 3.21점으로, 19/20대 여성(3.51)이 가장 높고, 19/20대 남성(2.93)에서 가장 낮았다. 지금보다 더 행복해지기 위해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는 ▲일자리(27%) ▲주거문제(20%) ▲휴식/여가생활(15%)순으로 꼽았다.

중앙정부에 청년세대 정책을 전담할 #청년부 신설에 대해서는 10명 중 6명가량이 찬성(59%)했고, 광역 및 기초단체 지방정부 청년국(과) 신설에 대해서도 절반 이상인 54%가 찬성했다.

문재인 정부의 전반적인 청년정책에 대해서는 52%가 불만족하다고 답한 가운데 청년세대의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하락요인으로 ▲북한문제 몰두(24%) ▲일자리문제(24%) ▲성갈등 관련 대응 미흡(20%) 등을 가장 많이 꼽았다.

1. 청년세대 행복체감도 & 행복 필요조건

행복체감도 "평균 3.21점", 여성(3.48)이 남성(2.97)보다 다소 높아

행복 필요조건 "일자리(27%)·주거문제(20%)" 절반 육박

① 청년세대 행복체감도

2030 청년들의 #행복체감도(현재 자신의 삶이 얼마나 행복하다고 느끼는가)는 ▲행복한 편 44%(다소 24%, 매우 20%) ▲보통 29% ▲불행한 편 27%(매우 16%, 다소 11%) 순으로, 5점 기준에 평균 3.21점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남성(2.97)보다 여성(3.48)의 행복체감도가 다소 높았고, 세대별로 19/20대(3.20)와 30대(3.22)의 행복체감도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ㆍ연령을 4분위로 세분화한 하위 그룹별 행복체감도는 ▲19/20대 여성(3.51) ▲30대 여성(3.44) ▲30대 남성(3.01) ▲19/20대 남성(2.93) 순으로, 19/20대 여성이 가장 높고, 19/20대 남성에서 가장 낮아 동일 세대 안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정파별 행복체감도는 ▲민주당 지지층(3.68) ▲바른미래당 지지층(2.93) ▲자유한국당 지지층(2.08) 순으로 나타났고, 정치성향별로는 ▲진보층(3.46) ▲중도층(3.18) ▲보수층(3.00) 순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지난 2017년 10월 조사와 비교할 때 ▲19/20대(3.29 → 3.20)는 0.09점 낮아졌고, ▲30대(3.72 → 3.22)는 0.5점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② 청년세대 행복 필요조건

지금보다 더 행복해지기 위해 가장 필요한 청년세대의 행복조건으로는 ▲일자리(27%) ▲주거문제(20%) ▲휴식/여가생활(15%) ▲건강(12%) ▲보육/교육문제(12%) ▲결혼/출산(8%) 순으로, 일자리와 주거문제를 꼽은 응답이 47%로 절반에 육박했다(무응답 : 6%).

남성은 ▲일자리(37%) ▲주거문제(18%) ▲휴식/여가생활(12%) ▲건강(11%) ▲결혼/출산(8%) ▲보육/교육문제(6%) 순으로, 일자리를 꼽은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반면, 여성은 ▲주거문제(22%) ▲휴식/여가생활(18%) ▲보육/교육문제(18%) ▲일자리(17%) ▲건강(14%) ▲결혼/출산(7%) 순으로, 주거문제를 가장 많이 꼽은 가운데 보육/교육문제를 꼽은 응답이 비교적 높아 남성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19/20대는 ▲일자리(35%) ▲주거문제(21%) ▲휴식/여가생활(16%) ▲건강(10%) ▲결혼/출산(6%) ▲보육/교육문제(4%) 순으로 꼽았고,

30대는 ▲일자리=보육/출산문제(20%) ▲주거문제(19%) ▲건강(15%) ▲휴식/여가생활(14%) ▲결혼/출산(9%) 순으로 꼽았다.

하위 그룹별로

19/20대 남성은 ▲일자리(45%) ▲주거문제(16%) ▲휴식/여가생활(12%) ▲건강(8%) ▲결혼/출산(5%) ▲보육/교육문제(3%) 순으로 나타났고,

19/20대 여성은 ▲주거문제(26%) ▲일자리(23%) ▲휴식/여가생활(19%) ▲건강(13%) ▲결혼/출산(8%) ▲보육/교육문제(6%) 순으로, 남녀 간 1~2위 순위에 차이가 있었다.

30대 남성은 ▲일자리(28%) ▲주거문제(20%) ▲건강(15%) ▲휴식/여가생활(12%) ▲결혼/출산(12%) ▲보육/교육문제(11%) 순으로 나타났고,

30대 여성은 ▲보육/교육문제(31%) ▲주거문제(18%) ▲휴식/여가생활(16%) ▲건강(14%) ▲일자리(11%) ▲결혼/출산(6%) 순으로, 보육/교육문제를 가장 많이 꼽았다.

정치성향별로 보수층 31%와 중도층 35%는 ‘일자리’를 가장 많이 꼽았고, 진보층 26%는 ‘주거문제’를 가장 많이 꼽아 차이를 보였다.

2.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청년정책 전담부서 신설

 

중앙정부 청년부 신설 "찬성(59%) vs 반대(28%)", 찬성 2.1배 높아

지방정부 청년국(과) 신설 "찬성(54%) vs 반대(33%)", 찬성 1.6배 높아

① 중앙정부 청년부 신설

중앙정부에 #청년세대 정책을 전담할 #청년부_신설에 대해서는 ▲찬성 59%(매우 28%, 다소 31%) ▲반대 28%(다소 11%, 매우 17%)로, 찬성이 2.1배가량인 31%p 높았다(무응답 : 13%).

한국당 지지층(찬성 28% vs 반대 69%)에서만 반대 응답이 2.5배 높았고, 다른 계층에서는 모두 찬성이 더 높았다.

성별로는 ▲남성(찬성 50% vs 반대 39%)보다 ▲여성(69% vs 16%)에서 찬성이 훨씬 더 높았고, 세대별로는 ▲19/20대(찬성 64% vs 반대 23%)가 ▲30대(54% vs 33%)보다 찬성이 더 높았다.

하위 그룹별 찬성 응답은 ▲19/20대 여성(80%) ▲30대 여성(59%) ▲19/20대 남성(51%) ▲30대 남성(49%) 순으로 나타났다.

② 지방정부 청년국(과) 신설

광역ㆍ기초단체 지방정부에 청년세대 정책을 전담할 #청년국(과) 신설에 대해서는 ▲찬성 54%(매우 23%, 다소 31%) ▲반대 33%(다소 16%, 매우 17%)로, 찬성이 1.6배가량인 21%p 높았다(무응답 : 13%).

한국당 지지층(찬성 27% vs 반대 72%)에서만 반대 응답이 2.7배 높았고, 다른 계층에서는 모두 찬성이 더 높았다.

성별로는 ▲남성(찬성 49% vs 반대 41%)보다 ▲여성(59% vs 25%)의 찬성 응답이 훨씬 더 높았고, 세대별로는 ▲19/20대(찬성 58% vs 반대 29%)가 ▲30대(49% vs 38%)보다 찬성이 더 높았다.

하위 그룹별 찬성 응답은 ▲19/20대 여성(67%) ▲30대 여성(51%) ▲19/20대 남성(51%) ▲30대 남성(47%) 순으로 나타났다.

3. 문재인 정부 청년정책 평가 및 지지율 하락요인

 

청년세대 정책평가 "만족(43%) vs 불만족(52%)", 불만족 1.2배 높아

대통령 지지율 하락요인 "북한문제=일자리(24%) vs 젠더갈등 대응 미흡(20%)"

① 문재인 정부 청년세대 정책평가

문재인 정부 청년세대 정책 전반에 대한 평가는 ▲만족 43%(매우 20%, 다소 23%) ▲불만족 52%(다소 17%, 매우 34%)로, 불만족하다는 응답이 1.2배가량인 9%p 높았다(무응답 : 5%).

성별로 ▲여성(만족 56% vs 불만족 36%)은 만족하다는 응답이 1.6배가량 높은 반면, ▲남성(31% vs 66%)은 불만족하다는 응답이 2.1배 높아 또렷한 차이를 보였다.

세대별로는 ▲19/20대(만족 39% vs 불만족 53%) ▲30대(47% vs 50%) 모두 불만족하다는 응답이 높은 가운데 19/20대의 불만족도가 다소 높았다.

하위 그룹별로는 ▲19/20대 여성(만족 56% vs 불만족 31%) ▲30대 여성(57% vs 41%)은 만족하다는 응답이 1.4~1.8배 높은 반면, ▲19/20대 남성(24% vs 72%) ▲30대 남성(39% vs 59%)에서는 불만족하다는 응답이 1.5~3배가량 높아 차이를 보였다.

② 가장 직접적인 청년세대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하락요인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청년세대_지지율_하락이 큰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가장 직접적인 청년세대 지지율 하락요인으로는 ▲북한문제 몰두(24%) ▲일자리 문제(24%) ▲성갈등 관련 대응 미흡(20%) ▲적폐청산 미흡(10%) ▲부동산 등 주거문제(7%) ▲청년세대 소통/공감 부족(5%) 순으로 꼽았다(무응답 : 9%).

남성은 ▲성갈등 관련 대응 미흡(32%) ▲북한문제 몰두(25%) ▲일자리문제(23%) ▲적폐청산 미흡(6%) ▲부동산 등 주거문제(6%) ▲청년세대 소통/공감 부족(5%) 순으로, 1/3가량이 성갈등 관련 대응 미숙을 가장 많이 꼽았고,

여성은 ▲일자리문제(25%) ▲북한문제 몰두(23%) ▲적폐청산 미흡(16%) ▲부동산 등 주거문제(9%) ▲성갈등 관련 대응 미흡(8%) ▲청년세대 소통/공감 부족(4%) 순으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 청년세대 지지율 하락의 가장 직접적인 요인으로 19/20대 남성의 33%, 30대 남성의 30%가 성갈등 관련 대응 미흡을 가장 많이 꼽은 반면, 19/20대 여성은 일자리문제(22%), 30대 여성은 북한문제 몰두(28%)를 가장 많이 지목했다.

정치성향별로 보수층은 ▲북한문제 몰두(35%) ▲성갈등 관련 대응 미흡(22%) ▲일자리문제(21%) 순으로 꼽았고, 진보층은 ▲일자리문제(27%) ▲성갈등 관련 대응 미흡(18%) ▲적폐청산 미흡(15%), 중도층은 ▲성갈등 관련 대응 미흡(26%) ▲북한문제 몰두(25%) ▲일자리문제(18%) 등의 순으로 지목했다.

이번 조사와 관련하여 리서치뷰 박정훈 수석컨설턴트는 "청년 남성 지지철회층은 일자리 구하기도 힘든데 정부가 대북문제에 너무 몰두하고, 성 갈등 관련 페미니스트 편들기를 하고 있다고 여기는 것 같다. 이런 이유로 청년 남성의 지지철회가 계속되는데도 여가부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페미니즘적' 기준에 입각한 검열과 제재를 강화하고, 여당의원은 청년에게 '갑질' 행태를 시전했다. 이런 불만들이 쌓여 청년 남성을 실망집단에서 적대집단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무엇보다 현 정부ㆍ여당은 2030 청년세대를 이해하는데 실패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조사는 <UPI뉴스 & UPINEWS+>와 함께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대표 : 안일원)>가 12월 28~31일 4일간 전국 만 19~39세 청년세대 312명(RDD 휴대전화 85%, RDD 유선전화 15%)을 대상으로 ARS 자동응답시스템으로 진행했다.

통계보정은 2018년 12월말 현재 국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라 성ㆍ연령ㆍ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5.5%p, 응답률은 2.9%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UPI뉴스 & UPINEWS+>와 <리서치뷰>,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