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시대 당대 위세 높은 사찰임이 증명된 삼척 흥전리사지
통일신라시대 당대 위세 높은 사찰임이 증명된 삼척 흥전리사지
  • 김지성 기자
  • 승인 2017-12-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척 흥전리사지에서 통일신라 시대 청동 승관인 확인

삼척시 '흥전리사지’가 일반인에 공개됐다. 이곳에 사는 임 모 씨는 많은 유물 출토와 넓은 터에 놀라워하며 어릴 적 간혹 이곳에서 주워온 기왓장을 갈아 약에 쓰기도 하고 고철이 나오면 고물상에 엿을 바꿔먹기도 했다며 이렇듯 소중한 곳인지 몰랐다며 옛 담을 귓속했다.

5일 오후 1시 40분 삼척시 도계도서관 회의실(2층)에서 이재범 문화재청 사적분과 문화재청 위원장, 최장순 강원대 건축학과 교수, 김남돈 강원대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이진환 삼척시문화공보실장, 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흥전리사지 발굴조사 발굴조사 관련 브리핑을 갖고 오후 3시 현장답사를 공개했다.

 앞서 김종진 문화재청의 허가로 삼척시청(시장 김양호)과 (재)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제정스님)가 조사하고 있는 ‘삼척 흥전리사지’(三陟興田里寺址)‘ 발굴조사가 진행됐으며 이곳에서 통일신라 시대 승단 조직에서 사용한 청동 승관인(僧官印)이 확인되었다. 유물은 이날 설명회를 통해 일반에 공개됐다. 이외 통일신라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인장 2과가 출토되었으며, 12점의 대호(大壺, 항아리)를 묻었던 장고(醬庫, 장‧독 보관시설)가 확인됐다.

출토된 청동인장 2과는 모두 완전한 형태이며, 이 중 하나는 청동인주함에 인장이 담긴 채 출토되었다. 보존처리 중인 청동인장은 2과 모두 정사각형(5.1㎝)으로 윗면에 끈을 매달 수 있는 손잡이가 있는 주문방인(朱文方印)의 형태로 제작되었다. 2과의 청동인장에는 6자의 전서체(篆書體)와 기하문(幾何文)이 각각 새겨져 있다.

 2과 중 한 점의 인문(印文)이 ‘범웅관아지인(梵雄官衙之印)’으로 판독되며, 서체는 당나라 관인(官印, 관청에서 공적으로 사용한 인장)과 유사한 구첩전(九疊篆, 글자 획을 여러 번 구부려서 쓴 전서체)의 초기형태이다. 이 인장은 통일신라 시대 승단에서 사용한 승관인으로 판단하고 있다.

‘범웅관아지인(梵雄官衙之印)’ 청동인장은 경주 황룡사지 출토품과 손잡이와 명문 서체 등에서 전체적인 형태와 크기가 매우 흡사하다. 청동인장은 한국 인장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며, ‘범웅관아(梵雄官衙)’라는 명문은 통일신라 시대 승단 조직과 국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사료로 판단된다.

또 다른 인장에는 ‘만(卍)’자상으로 선을 연결한 문양이 확인되었다. 「삼국사기」 권7(신라본기 제7, 문무왕 하)에는 통일신라 시대 문무왕이 모든 관인은 국가가 주조(鑄造)하게 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으며, 「고려사」 권 6(세가(世家) 6, 정종 원년 10월)에도 고려 정종 때에 ‘식목도감(式目都監)’에서 지방 주군(州郡)이 사용하는 승관인을 거둘 것을 주청하는 기사가 있어 국가에 의해 관인이 관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번 조사에서 강원도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장고(醬庫) 터가 확인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지 내부에 대호 12점을 정연하게 묻어 사찰음식 재료를 보관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통일신라 시대 건물지는 남원 실상사를 비롯해 경주 황룡사지와 성건동 유적에서도 확인된 바 있으며 선종사찰 고원(庫院)시설의 장고였음이 밝혀졌다.

삼척 흥전리사지는 통일신라 시대 영동지역 불교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사찰로 그간 금당지(金堂址), 탑지(塔址) 등 주요 가람시설이 확인되었다. 특히, 신라 시대에 왕이 임명하는 승단의 최고 통솔자인 ‘國統’(국통)이 새겨진 비조각(碑片)을 비롯하여 청동정병(靑銅淨甁), 금동번(金銅幡, 깃발) 등 중요 유물이 출토되어 위세 높은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삼척시청은 삼척흥전리사지의 실체와 역사적 가치를 규명하여 체계적인 보존‧관리‧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차 발굴조사 성과를 집성한 학술대회를 2018년 2월에 개최할 계획이다. 학술대회를 통해 도출된 조사 성과와 의의, 정비 방안 등을 담아 2018년 사적 지정 신청도 계획하고 있다.

한편, 이번 발굴에 참여한 관계자는 향후 북쪽 지역과 시굴조사구역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며 지금까지 조사한 홍 리 지사는 독특하고 창의적인 건축물과 함께, 탑, 석등, 귀 부 등의 빼어난 석조문화재, 금동번과 청동정병 등의 출토유물을 통해 통일신라시대 당대 위세 높은 사찰임이 증명되었으며 사역 전체를 사적으로 지정하는 등의 행정조치를 통해 유적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해야할것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