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항3단계 컨테이너 하치장 조기 조성과, 강원도의 동해안 항만 국 단위의 부서 설치 촉구
동해항3단계 컨테이너 하치장 조기 조성과, 강원도의 동해안 항만 국 단위의 부서 설치 촉구
  • 김지성 기자
  • 승인 2018-11-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단법인 강원경제인연합회와 동해경제인연합회는 동해시 동해항 컨테이너 하치장 조기 조성과 강원도의 동해안의 항만 정책을 다루는 국단위의 부서의 설립을 촉구했다.

동해항 3단계 개발사업은 2021년까지 국가예산 8천235억원을 들여 외곽 및 접안시설, 임항 교통시설, 친수시설 등을 조성할 계획이며, 민자 7천658억원을 유치해 5만톤급과 7만톤급, 10만톤급 규모의 부두 7개를 2023년까지 확충할 계획으로 현재 공사는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동해항 3단계 민자부두(7개 선석) 내에 기존 벌크 부두로 계획되었던 부두가 컨테이너 처리도 가능한 잡화부두를 개발하는 항만기본계획 변경안이 중앙 항만정책심의회를 통과 지난 9.14일 변경 고시되었다.

강경련은 그동안 동해항의 화물의 다변화를 위하여 전국 국가관리항중 유일하게 컨테이너 부두가 없던 동해항에 컨테이너 부두가 들어설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으나 하치장 없는 컨테이너 부두는 효용 가치가 떨어지고 경쟁력도 사라진다고 지적했다.

2021년 동해항 3단계 준공과 2023년 민자 잡화부두 건설에 맞추어 컨테이너 하치장이 조성이 안 된다면 항만물류의 다변화 목적은 사라지고 기존의 벌크 화물만 가득찬 부두가 될 것이며, 지역에서 간절히 바라던 지역 발전도 뜬 구름 잡는 격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강원도와, 동해시, 동해지방해양수산청은 적극 협력하여 강원도 유일의 종합무역항인 동해항이 강원도의 발전과 지역의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시기를 놓치지 말고 컨테이너 하치장 조성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현재 강원도는 남북한의 긴장 완화와 정상회담을 통한 비핵화 진행에 따른 남북 항만간의 물류교류는 물적 인적 남북 교류가 예정되어있고 특히 동해항은 과거 북한의 수해물자인 시멘트를 수송한 경험이 있는 항으로서 북한의 각종 SOC 건설이 진행된다면 시멘트 수송과 북한의 지하자원을 들여올 수 있는 중심항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동해자유무역지대에 산업통상자원부 동해자유무역원에서 추진 건설되는 대규모 콜드체인 냉장 냉동 창고의 준공 시기에 맞추어 각종 수산물이 수입, 수출이 될 수 있는 곳 이기도하며 환동해안권 북방교역의 최적지인 강원도는 중국의 지린성,흑룡강성등 동북삼성 개발,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의 지속적인 동방포럼을 통해 블라디보스톡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동북 개발을 진행, 일본등과의 교류 확대 및 기온 변화에 따른 북극항로 출현등 환동해안권의 동북아는 새로운 지평을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를 놓치지않고 따라가려면 무엇보다 강원도 동해안에는 대규모 항만(동해,묵호항,삼척항,호산항,속초항,옥계항, 건설 예정인 강릉안인, 삼척근덕지역 개발항)들이 산재해있다. 이런 항만들과 장차 북방 물류의 중심으로 강원도가 우뚝 서기위해서는 동해안 정책을 다루는 국 단위 부서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고 요구했다.

강경련은 전국의 해안을 끼고있는 광역자치단체중 항만의 정책을 다루는 국이 없는곳이 강원도가 유일하며 강원도의 인근 경상북도는 대규모 항만은 포항 영일항이 유일하지만 경북 환동해지역본부내 동해안전략산업국이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전문적인 항만 정책을 다루는 국이 있어야만 시기를 놓치지 않고 적절하게 대책을 시행하여 강원도의 발전의 동력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 지적과 함께 동해항의 컨테이너 하치장 조기 조성과 강원도의 동해안의 항만 기능의 효율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국 단위 부서의 설립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