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박시설 내 장애인 객실 수 부족하고 편의시설도 미흡해
숙박시설 내 장애인 객실 수 부족하고 편의시설도 미흡해
  • 국제전문기자CB(특별취재반) 김지성 기자
  • 승인 2020-08-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애인의 사회참여가 늘어나고 문화 및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숙박시설 내 장애인 객실 등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은 여전히 미흡해 개선이 필요하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의 수도권 숙박시설 내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온라인(100개소) 및 현장 실태조사(30개소) 결과로 밝혀졌다.

 (온라인) 30실 이상 일반숙박시설 65개소, 관광숙박시설 35개소

 (현장) 온라인조사 대상 중 장애인 객실을 구비한 30실 이상 일반숙박시설 15개소, 관광숙박시설 15개소

☐ 숙박시설의 절반은 장애인 객실 미설치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18.1.30. 개정)」에 따라 30실 이상의 객실을 보유한 숙박시설은 전체 객실의 1%, 관광숙박시설은 객실 수와 관계없이 3% 이상의 장애인 등(이하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객실을 보유하고,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개정 전 기준은 30실 이상의 일반숙박시설 및 관광숙박시설은 0.5% 이상의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객실 설치, 개정 기준은 ’18. 1. 30. 이후 신축증축개축재축이전대수선 또는 용도 변경하는 숙박시설에 적용

 장애인노인임산부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 시설이용 및 정보접근 등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을 말함.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제2조 제1호)

그러나 장애인 객실 설치 의무가 있는 숙박시설 100개소에 대한 온라인 조사결과, 49개소(49.0%)는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객실이 없었고, 장애인 객실을 설치한 51개소도 0.5% 이상 ~ 1% 미만으로 설치한 곳이 18개소(35.3%)로 가장 많았다.

 장애인 객실을 설치한 51개소 중 0.5%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곳은 2개소임.

 

 

 

(단위 : 개소, %)

구분

설치

미설치

합계

일반숙박시설

24(36.9)

41(63.1)

65(100.0)

관광숙박시설

27(77.1)

8(22.9)

35(100.0)

합계

51(51.0)

49(49.0)

100(100.0)

특히, 총 객실 수가 100실 이상인 24개소 중 20개소(83.3%)는 장애인 객실을 설치하지 않거나 1개만 설치하고 있었다.

장애인 편의시설이 설치된 객실은 장애인뿐만 아니라, 고령자·임산부 등 ‘관광약자’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객실 설치 여부 점검 강화 및 설치 확대가 필요하다.

 ’17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23.8%를 차지

☐ 일부 장애인 객실, 휠체어 활동공간 미확보 등 설치기준에 부적합해

장애인 객실이 설치된 30개소(일반숙박시설 15개소, 관광숙박시설 15개소)에 대해 설치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현장 조사한 결과, 19개소(63.3%)는 침대 측면 공간이 협소해 객실 내부 휠체어 활동공간 기준(1.2미터 이상)에 부적합했다. 또한, 5개소(16.7%)는 화장실 출입문에 2cm 이상의 단차(높이차이, 최대 7cm)가 있는 등 객실 내 편의시설이 관련 기준에 미달하거나 설치되어 있지 않아 넘어짐·부딪힘 등의 장애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 개소, %)

구분

일반숙박시설

관광숙박시설

부적합 비율

객실

출입문 높이차이 미제거

5/15(33.3)

3/15(20.0)

8/30(26.7)

휠체어 활동공간 기준 부적합

9/15(60.0)

10/15(66.7)

19/30(63.3)

침대 높이 기준 부적합

12/15(80.0)

13/15(86.7)

25/30(83.3)

객실 내 화장실

출입문 유효폭 부적합

5/15(33.3)

3/15(20.0)

8/30(26.7)

출입문 높이차이 미제거

2/15(13.3)

3/15(20.0)

5/30(16.7)

대변기 손잡이 기준 부적합

4/15(26.7)

2/15(13.3)

6/30(20.0)

객실 내

욕실

욕조 전면 휠체어 활동공간 기준 부적합

4/7(57.1)

2/8(25.0)

6/15(40.0)

비상용 벨 미설치

6/7(85.7)

4/8(50.0)

10/15(66.7)

 

☐ 숙박시설 내 장애인 편의시설 관리·감독 강화 필요

관할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시설주에게 이를 설치하도록 시정명령을 내릴 수 있고, 기한 내에 이행하지 않으면 3천만원 이하의 이행강제금을 부과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현행법 상 시정명령 및 이행강제금 부과내역을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제출해야 한다는 명시적인 규정이 없어 소관부처인 보건복지부의 장애인 편의시설 관리·감독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할 지방자치단체에는 ▲숙박시설 내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 및 관리·감독 강화를, 보건복지부에는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된 시정명령 및 이행강제금 부과내역의 제출 의무 신설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